문화
-
마을미술관보령여행 2022. 9. 24. 16:32
. . 보령 원도심에 마을미술관이 문을 열 채비를 하고 있습니다. 아직은 다듬어야 할 부분이 많습니다. 조만간 미술관 문이 열리면 많은 이야기가 주렁주렁 달릴 것 같습니다. 지금은 한 구석에 숨겨져 있는 것 같은 마을미술관. 이름도 결정했다는데, 공식 발표하면 모두 알겠지요. 마을미술관을 찾아가려면 미로찾기 체험을 해야 합니다. 미술관이 문을 열기까지 당분간 밖에서만 볼 수 있는데, 그 모습도 예쁘고 여러 상상을 불러일으킵니다. 그동안 충남에서 가장 좋아하는 미술관이 두 개였는데, 이제 하나가 더 늘었습니다. 아마 개관하면 가장 많이 가는 미술관일 것 같습니다. 사진 찍는 사람으로서 가끔 좋은 사진전도 열리면 좋겠다고 생각합니다. 가장 좋은 사진은 마을 사람들이 마을 구석구석을 찍은 사진이고요. 미술관 ..
-
도시재생, 문화재생이런저런글 2018. 6. 14. 12:13
1. “조무래기들은 도깨비불만 보면 네 그르니 내 옳으니 하며 짜그락거리기 일쑤였고, 그러면 나이 좀 있는 사람이 얼른 쉬쉬하면서, 도깨비가 듣겠다고 나무라 주게 마련이었던 것이다.” -이문구 에서-“어떤 사람이 문득 집 안채와 바깥채 사이에 시퍼런 불이 커다랗게 서 있는 것을 보았다. 그 불은 순식간에 열 개로 갈라져 번갯불같이 수직 벼랑에 한 줄로 오르내렸다. 그러다가 도깨비불이 하나씩 나오더니 여섯 개가 서로 붙어서 하나가 되었다. (중략)” 농경사회에서 빈번하게 출현했던 도깨비불은 현재 사라졌습니다.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하게 진행되면서 도깨비불은 아득히 먼 옛날이야기로 우리 귀에 맴돕니다. 생각해보면, 도깨비불은 두려움과 그것을 이기고자 하는 갈망이라고 여겨집니다. 도깨비불 이야기는 삶의 원동력..
-
즐거운 마을살이 기반농촌이야기 2017. 8. 10. 12:31
1. 프롤로그 지난여름, 충남 보령에서는 머드축제와 더불어 ‘보령해변시인학교’가 열렸습니다. 7월 22일(토)부터 23일(일)까지 시인학교에서 많은 시인의 만남이 있었습니다. 손해일, 문정희, 이재무, 이승하, 공광규 시인 등 대략 200여 명의 시인이 참석했습니다. 저는 이런 좋은 자리에 모인 시인들에게 커피 한 잔 나눠주고 싶어서 커피 짐을 바리바리 싸 들고 바닷가 시인학교로 갔습니다. 가는 길은 참 더웠습니다. 올여름이 유난히도 더웠죠. 그래도 정성껏 커피를 나눠주면서 시인들의 영감을 얻고자 했는데, 즐거운 시간이 이어져서 그 자체가 영감이 되었습니다. 시인의 말을 들으면서, 요즘 제가 부쩍 관심을 두고 있는 마을과 문화에 대한 생각을 새롭게 정리할 수 있었습니다. 마을은 시와 같은 영감으로 이루어..
-
문화, 즐거운 마을살이 기반농촌이야기 2017. 7. 15. 22:38
1. 프롤로그 마을 만들기의 중요한 요소로 많은 것들이 그동안 제시되었다. 행정의 예산과 관심 및 지원, 주민의 의지와 학습 자세, 전문가의 경험과 역량 등 기본적인 것도 이미 보편화 되었다. 그러나 이런 것이 잘 갖춰져 있다고 해도 진취적인 역동성이 부족하면 마을 만들기는 여러 문제 앞에 설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진취적인 역동성을 끄집어내는 일은 마을 만들기, 혹은 마을살이에 있어서 늘 고민거리이다. 그래서 패러다임 바꾸기 등이 동원되기도 한다. 그러나 고착된 패러다임 바꾸기는 또 하나의 패러다임을 쌓는 것에 불과하다.결국, 마을이 본래 가지고 있는 모습과 자원들을 주목해야 한다. 이는 마을의 변화와 삶의 질을 높이는 밑바탕이기 때문이다. 마을에 있어야 할 것을 확보하는 일은 무엇보다 중요하다. 작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