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래된 미래’라는 책이 있습니다.
이런저런 글 게시판을 찾아보면 제 독후감도 있습니다.
스웨덴 여성으로 동양 언어학자인 헬레나 노르베리-호지가 쓴 책입니다.
이 책은 그녀가 1975년 티베트 불교문화에 뿌리를 둔 라다크를 방문한 후 그곳에서 16년간
그 사람들과 똑같이 생활하면서 깨닫게 된 현대 인류의 사회적, 생태적 위기의 본질과 그 대안을 모색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라다크 사람들은 티베트 고원의 고대문화를 지금까지 지켜오고 있는 13만 명가량의 소수민족입니다.그들은 전형적인 고지대에서 농축을 생활수단으로 하고 있습니다. 농사가 다 그렇지만 다른 것에 눈을 돌리지 않는 그들은 완전히 땅과 함께 살아갑니다.
모든 생활방식이 농사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모두들 자기 능력에 맞도록 농사를 지며 살아가는데, 더 많이 가지려고 애를 쓰지도 않고,
자기 식구들이 먹고 살만큼만 갖고 살기 때문에 소유를 늘리려는 과욕도 갖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들은 농사를 놀이처럼 생각합니다.
시간에 쫓기듯이 몰아가지 않고 쉬엄쉬엄 농사를 짓습니다.
그래서 축제도 열고, 술과 차를 자주 마시고, 서로가 음식을 나누어 먹는 일에 인색하지가 않습니다.
이웃과 문제가 생겼을 때는 제삼자는 누구라도 중재를 할 수 있고, 또 그 중재를 흔쾌히 받아들입니다.
어릴 때부터 그렇게 자라는 라다크 사람들은 이웃에 대한 개념이 우리와 기본적으로 다릅니다.
이웃은 형제라고 합니다.
라다크 사람들의 모습에서 우리는 우리의 과거를 봅니다.라다크 사람들의 모습이 오늘 우리의 눈으로 보면 참으로 한심하게 보일지 모르겠습니다.
성장과 발전의 강박에 빠져있는 오늘 우리의 가치판단에 의하면 그들은 아주 무력한 사람들,
미개한 사람들일 뿐입니다.
그러나 라다크 사람 앞에서 우리는 더욱 근원적인 질문 앞에 설 수밖에 없습니다.
우리가 그들보다 행복하다고 장담할 수 있을까요?
아마 솔직한 답변은 ‘확신할 수 없다’일 것입니다.
우리는 점점 행복과는 너무나 거리가 먼 쪽으로 줄달음치고 있는지 모릅니다.발전과 개발이란 미명하에 산과 강을 병들게 하고, 자본주의적 힘을 너무 의지한 결과로
이웃과 비인간적인 갈등과 경쟁만 난무하게 되었고,
소유와 소비에 맛이 들여져서 삶 자체보다는 일에만 매달리고 있기 때문입니다.